설니홍조(雪泥鴻爪) □ 설니홍조(雪泥鴻爪) 정민 한양대 교수 송나라 때 소식(蘇軾)이 아우 소철(蘇轍)에게 화답한 시는 이렇다. "인생길 이르는 곳 무엇과 비슷한가. 기러기가 눈 진흙을 밟는 것과 흡사하네. 진흙 위에 우연히 발자국 남았어도, 날아가면 어이 다시 동서를 헤아리랴. 노승은 이미 죽어.. 좋은글/고전 2011.12.23
相思病 ☐ 상사병(相思病) 相:서로 상. 思:생각 사. 病:병들 병 사랑을 이루지 못해 생긴 병이라는 뜻으로, 남녀 사이에 서로 애틋하게 생각하는 병. 중국 춘추 시대의 송(宋)나라는 강왕(康王)의 포악으로 인해 망하고 말았다. 이 강왕은 그의 뛰어난 용맹으로 한때 영토를 확장하는 등 대.. 좋은글/고전 2011.11.22
살풍경(殺風景) ☐ 살풍경(殺風景) 殺:죽일 살. 風:바람 풍. 景:경치 경 경치를 파괴하는 행위. 도덕적인 기본 질서를 무시하거나 꼴불견의 행위를 하는 경우, 또는 그런 사람. 당나라 후기에 유미주의(唯美主義) 정신으로 난해한 시를 쓴 이상은의 《雜纂(잡찬)》이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이다. 한.. 좋은글/고전 2011.11.16
사랑은 흐르는 물에도 뿌리를 내립니다 □ 사랑은 흐르는 물에도 뿌리를 내립니다 세상의 시인들이 사랑이라는 낱말 하나로 수많은 시를 쓰듯이 살아가는 동안 행여 힘겨운 날이 오거든 사랑이라는 낱말 하나로 길을 찾아 가십시오. 시인들의 시처럼 길이 환하게 열릴 것입니다. 사랑은 마음 속에 저울 하나를 들여 놓는 것 두 마음이 그 저.. 좋은글/피와살 2011.10.23
행복의 문을 여는 비밀번호 행복의 문을 여는 비밀번호 일상의 풍요로움은 욕심 그릇을 비워서 채우고 자신의 부족함은 차고 매운 가슴으로 다스리되 타인의 허물은 바람처럼 선들선들 흐르게 하라. 생각은 늘 희망으로 깨어있게 손질하고 어떤 경우도 환경을 탓하지 말며 결코 남과 비교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라. 미움은 .. 좋은글/명상 2011.10.23
여덟 가지 잘못 ☐ 여덟 가지 잘못 사람에게는 빠지기 쉬운 여덟 가지 잘못이 있으니 잘 살피지 않으면 안된다. 자기가 할 일이 아닌 데 하는 것을 주책이라 하고, 상대방이 청하지도 않은데 의견(意見)을 말하는 것을 망령이라 하며, 남의 비위를 맞추어 말하는 것을 아첨이라 하며, 시비(是非)를 가리지 않고 말하는 .. 좋은글/피와살 2011.10.22
청성잡기(靑城雜記) □ 청성잡기(靑城雜記)의[질언(質言)] ☆ 성대중(成大中) : 1732(영조 8)~1812(순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창녕. 자는 사집(士執), 호는 청성(靑城). 아버지는 찰방 효기(孝基)이며, 해응(海應)이 그의 아들이다. 노론 성리학파 중 낙론계(洛論系)인 김준(金焌)에게서 배웠다. 1756년(영조 32) 정시.. 좋은글/고전 2011.10.14
퇴불우인 [정민의 세설신어] □ 퇴불우인(退不尤人) 정민 한양대 교수 영광(靈光) 사는 강씨(姜氏) 성의 토호(土豪)가 이웃 백성을 곤장으로 때리며 자주 괴롭혔다. 견디다 못한 백성이 그를 다른 일로 밀고했다. 그는 제 세력을 믿고 사또 앞에서도 기세등등하다가 곤장을 맞고 나와 갑자기 죽었다. 그의 후처 이.. 좋은글/고전 2011.10.14
翁壻盜婢 [出典] 靑坡劇談(청파극담) □ 翁壻盜婢(옹서도비) [字解] 翁 (장인 옹) 壻 (사위 서) 盜 (훔칠 도) 婢 (계집종 비) [意義] 자신의 죄를 남에게 덮어 씌우는 것을 말한다. [解義] 조선조 어떤 정승(政丞)의 생일에 생긴 일이다. 생일을 맞이한 정승에게 獻壽(헌수)를 드리기 위하여 사위 와 딸등 여러 사람들이.. 좋은글/고전 2011.09.07
樂而不淫 哀而不傷 □ 樂而不淫 哀而不傷 子曰 關雎는 樂而不淫하고 哀而不傷한다 (자왈 관저 낙이불음 애이불상) [해독] 공자께서 말했다[子曰]. “‘관저[關雎]’는 즐거우면서도 음란하지 않고[樂而不淫], 슬프면서도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哀而不傷].” ※ 한자 * 관저[關雎] ; 시경(詩經) 305편의 시 중에서 맨 처.. 좋은글/고전 2011.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