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진제(眞諦)와 속제(俗諦) - 이제(二諦)> <진제(眞諦)와 속제(俗諦) - 이제(二諦)> 불교에서 진리를 진제(眞諦)와 속제(俗諦) 두 가지로 구분하며, 이를 합쳐서 이제(二諦)라고 한다. ‘제(諦, satya)’는 변치 않는 진리를 말한다. 부처님께서도 설법을 하심에 진제(眞諦)와 속제(俗諦) 두 가지 진리로 나누어 설하셨다. 때문에 그 .. 불교/불교 일반 2017.10.23
신묘장구대다라니 - 산스크리트어 본 □ 신묘장구대다라니 - 산스크리트어 본 1 나모 라뜨나 뜨라야야 (Namo ratna-trayāya) 나모 라다나 다라야야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2 나마 아리야발로키테슈와라야 보디삿뜨와야 (Namah āryāvalokiteśvarāya bodhisattvāya) 나막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 사다바야 거룩한 관세음.. 불교/불교 일반 2017.02.08
신묘장구대다라니 해설(수정) □ 신묘장구대다라니 나모 라다나 다라야야 (삼보님께 귀의(歸依)합니다) 나막 알야 바로기제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니가야 (거룩하온 관자재보살 대자비존(大慈悲尊)께 귀의(歸依)하옵니다) 나모=나막=나무(南無) : 귀의(歸依)하다 다라야=트라야 : 셋, 삼 알야=알.. 불교/불교 일반 2017.01.27
五觀偈(오관게) □ 五觀偈(오관게) 計功多小量彼來處(계공다소량피래처) 忖己德行全缺應供(촌기덕행전결응공) 防心離過貪等爲宗(방심이과탐등위종) 正思良藥爲療形姑(정사양약위료형고) 爲成道業應受此食(위성도업응수차식) 이 음식이 어디에서 왔는가? 내 덕행으로는 받기가 부끄럽네 마음의 온갖 .. 불교/불교 일반 2016.11.08
예불문 □ 예불문 ○ 오분향례(五分香禮) 오분향을 올리는 의식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半拜) 戒香 定香 慧香 解脫香 解脫知見香 지계의 향 선정의 향 지혜의 향 해탈의 향 해탈지견의 향 광명운대 주변법계 공양 시방 무량 불법승(半拜) 光明雲臺 周遍法界 供養 十方 無量 佛法僧 광.. 불교/불교 일반 2016.11.08
등 향로봉 □ 登 香爐峰(등 향로봉) 西山大師 萬國都城如蟻蛭 만국도성여의질 千家豪傑若醯鷄 천가호걸약혜계 一窓明月淸虛枕 일창명월청허침 無限松風韻不齊 무한송풍운부재 만국의 도성은 개미집과 한가지요 천가의 호걸은 초파리와 같도다. 한창에 비친 밝은 달을 (청허(=서산대사)가) 베개로 .. 불교/불교 일반 2016.06.28
摩訶般若波羅密多心經 해설 摩訶般若波羅密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摩訶般若波羅密多心經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 불교/불교 일반 2015.06.25
사찰의 구조 □ 사찰의 구조 사찰의 각종 전각들이 어떠한 배경에 의해 배치되는지 이해하려면 먼저 불교의 우주관을 알아야 한다. ○ 불교의 우주관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공간에서 미세한 바람이 일어나서 차례로 풍륜(風輪), 수륜(水輪), 금륜(金輪)이 생겼다. 맨 위의 금륜은 수미산을 중심으로 7.. 불교/불교 일반 2014.12.26
大佛頂首楞嚴神呪 大佛頂首楞嚴神呪(解題) 능엄경의 원 이름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인데, 대불정수능엄경 또는 수능엄경이라고 많이 불리며 능엄경 제7권에 능엄신주가 마하실달다반달라(摩訶悉達多般怛羅,) 또는 불정광명마하.. 불교/불교 일반 2014.10.31
[스크랩] <삼십칠조도품(三十七助道品)> <삼십칠조도품(三十七助道品)>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은 ‘깨달음[도(道), 보리(菩提)]에 이르는 37가지 법’을 말한다. 초기불교의 <아함경>에서 붓다가 언급하거나 설명하고 있는 37가지 도품(道品), 즉 수행법(修行法)을 가리키는 말로서, 사실상 초기불교 수행법을 통칭하는 말.. 불교/불교 일반 201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