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금강경(설우스님)

금강경 10. 莊嚴淨土分

seongsoo 2014. 6. 19. 09:13

10. 莊嚴淨土分 : 정토를 장엄하다

 

佛告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昔在燃燈佛所 於法

불고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석재연등불소 어법

有所得不 不也 世尊 如來 在燃燈佛所 於法 實無所得

유소득부 불야 세존 여래 재연등불소 어법 실무소득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옛적에 연등불 회상에서 법에 얻은 것이 있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연등불 회상에서 법에 실로 얻은 것이 없습니다.”

 

須菩提 於意云何 菩薩 莊嚴佛土不

수보리 어의운하 보살 장엄불토부

不也 世尊 何以故 莊嚴佛土者 卽非莊嚴 是名莊嚴

불야 세존 하이고 장엄불토자 즉비장엄 시명장엄

是故 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生淸淨心

시고 수보리 제보살마아살 응여시생청정심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無所住 而生其心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보살이 국토를 장엄하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불국토를 장엄한다는 것은 곧 장엄이 아니고 그 이름이 장엄입니다.”

이런 까닭으로 수보리야, 모든 보살 마하살은 응당 이와 같이 청정한 마음을 낼지니, 응당 색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 것이요, 응당 머문 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

 

須菩提 譬如有人 身如須彌山王 於意云何 是身 爲大不

수보리 비여유인 신여수미산왕 어의운하 시신 위대부

須菩提 言 甚大 世尊 何以故 佛說非身 是名大身

수보리 언 심대 세존 하이고 불설비신 시명대신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어떤 사람이 몸이 큰 수미산만 하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몸이 크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말씀 드리되, “매우 큽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부처님께서는 몸 아닌 것을 이름하여 큰 몸이라 하셨습니다.”

 

莊嚴(장엄) : 장엄이란 범어 비우하(vyu-ha)’의 뜻 번역으로 몸이나 국토 주처(住處)를 아름답고 훌륭하게 꾸민다(decoration)는 말로써 더 이상이 없는 완벽한 상태를 의미한다. , 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고, 훌륭한 공덕을 쌓아 몸을 장식하고, 향과 꽃들을 부처님께 올려 장식하는 일

북본열반경에서는 밝은 지혜를 닦아 몸을 꾸미는 지혜장엄과 선행의 보시와 청정한 계율을 닦아서 몸을 꾸미는 복덕장엄, 즉 지혜(智慧)와 복덕(福德)2종 장엄으로 구분하고, 세친의 정토론에서는 아미타 극락정토의 뛰어나게 훌륭함을 29종 장엄으로 형용하기도 한다.

또한 6조 혜능스님은 장엄에 세 가지가 있으니, 1장엄은 세간불토(世間佛土)로써 절을 짓고 사경(寫經)하며 보시공양하는 것이요, 2장엄은 신불토(身佛土)이니 모든 사람을 볼 때 두루두루 공경을 행하는 것이요, 3장엄은 심불토(心佛土)이니 마음이 청정하면 곧 불토가 청정하게 되어 생각에 얻는 바 없는 행을 얻나니 바로 이것이다라고 설시(說示)하고 있다.

불교의식에 아미타에 귀의하고 그 세계를 장엄하는 예찬의식으로 장엄염불(莊嚴念佛)이 있듯이, 가톨릭교의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예배의식으로 장엄미사(莊嚴彌撒)가 있다.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 집착없는 마음(머므름 없는 마음)을 일으켜라

옛날에 종리라는 도인이 제자 여조에게 말했다.

"내가 너에게 무쇠를 황금으로 만드는 도술을 전수해 줄 터이니, 이 기술로 세상 사람들을 구제하거라."

그러자 여조가 여쭈었다.

"황금이 무쇠로 다시 변하지는 않습니까?"

종리가 대답했다.

"500년이 지나면 황금이 본래의 무쇠로 된다."

이 말을 듣고, 여조는 단호히 대답했다.

"500년 후에 황금이 무쇠로 변한다면, 500년 후에 가짜 황금을 가진 사람들이 곤란을 겪게 됩니다. 그런 도술이라면 차라리 배우지 않는 편이 좋겠습니다."

종리는 여조를 칭찬하며 말했다.

"도가에서 도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삼천 가지 공덕을 쌓아야 한다. 그런데 그대는 지금 그 말 한 마디로 이미 삼천 가지 공덕을 쌓은 것이 되었다."

아들아, 선행을 할 때 마음이 선행에 집착하면 안 된다. 금강경에 '머무르지 않고 마음을 낸다'는 말씀이 있다.

이렇게 마음에 집착함 없이 선행을 쌓으면 원만하게 선이 성취된다. 그러나 마음에 집착이 있으면, 아무리 많은 선행을 해도 부족한 선이 된다.

다른 사람에게 보시를 할 때, 세 가지가 모두 청정해야 한다.

세 가지란 보시하는 사람과 보시를 받는 사람 그리고 보시하는 물건을 말한다.

이 세 가지에 집착함 없이 청정할 때 삼륜청정 또는 일심청정이 된다. 이렇게 청정한 마음이 되면, 좁쌀 한 말로도 무량한 복덕을 이룰 수 있고, 동전 한 냥으로도 천겁에 쌓인 허물을 완전히 소멸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보시하는 마음에 집착을 일으키면 황금 수십 만 냥을 보시한다 해도 복덕을 이루지 못한다.

'불교 > 금강경(설우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12. 尊重正敎分   (0) 2014.06.20
금강경 11. 無爲福勝分   (0) 2014.06.19
금강경 9. 一相無相分   (0) 2014.06.10
금강경 8. 依法出生分   (0) 2014.06.05
금강경 7. 無得無說分   (0) 201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