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化無所化分 : 교화할 바 없는 교화
須菩提 於意云何 汝等 勿謂如來 作是念 我當度衆生
수보리 어의운하 여등 물위여래 작시념 아당도중생
須菩提 莫作是念 何以故 實無有衆生 如來度者
수보리 막작시념 하이고 실무유중생 여래도자
若有衆生 如來度者 如來 卽有我人衆生壽者
약유중생 여래도자 여래 즉유아인중생수자
須菩提 如來說有我者 卽非有我 而凡夫之人 以爲有我
수보리 여래설유아자 즉비유아 이범부지인 이위유아
須菩提 凡夫者 如來說 卽非凡夫 是名凡夫
수보리 범부자여래설 즉비범부 시명범부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희들은 여래가 이런 생각을 하되, 내가 마땅히 중생을 제도한다고 여기지 말라.
수보리야, 이런 생각은 하지 말지니라. 왜냐하면 실로는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없음이니 만약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있다고 하면 여래는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는 것이 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설하되 아가 있다는 것은 곧 아가 있음이 아니거늘 범부들이 이를 아가 있다고 여기느니라.
수보리야, 범부라는 것도 여래가 설하되, 곧 범부가 아니고 그 이름이 범부니라.“
※ 담설전정(擔雪塡井) : 고봉스님은 인간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도 닦는 공부를 ‘지게에 눈을 져다가 우물을 메우는 것(擔雪塡井)’같이 하라고 후학들을 가르쳤다. 흙으로 우물을 메우는 일이야 쉽겠지만, 눈으로 우물을 메우는 일은 표시도 나지 않는 일이다. 그렇게 그곳에 도달하기가 수월하지 않음을 몸소 익혀보라는 이야기다. 끝없이 참회하고 기도해야만 요동치는 욕망을 누르고 맑은 물이 샘솟는 근원을 볼 수 있다는 가르침이다. 스님뿐 아니라 우리 모두 그 곳을 향해 가고 싶어 하는지도 모른다.
※ 부처와 중생의 차이 : 부처는 사상이 없는 중생이고, 중생은 사상이 있는 중생이다. 부처님이나 중생이나 생각하고 깨닫고 느끼고 아는 기능으로 볼 때는 똑같다. 다만 부처님은 우리와 같은 기능을 가졌지만 분별심이 없고 집착심이 없기 때문에 그 기능이 무한한 보살심으로 바뀌는 것이다.
※ 활구법문(活句法門) : 살아있는 법문 ⇔ 死句法門
'불교 > 금강경(설우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28. 不受不貪分 (0) | 2014.07.24 |
---|---|
금강경 27. 無斷無滅分 (0) | 2014.07.16 |
금강경 24. 福智無比分 (0) | 2014.07.14 |
금강경 23. 淨心行善分 (0) | 2014.07.14 |
금강경 22. 無法可得分 (0) | 201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