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뭡니까

通聲祈禱

seongsoo 2011. 3. 5. 08:40

 

□ 通聲祈禱

 

      

 

통성(通聲)기도는 외국에 없는 것은 아니지만 ‘Korean Pray(한국식 기도)’라고 부를 정도로 한국 개신교회의 특징적인 기도 형식으로 자리 잡았다. 한국의 통성기도는 1907년 길선주 목사의 평양 대부흥운동 때 시작됐다. 통성기도는 묵상기도와 달리 소리를 내서 각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통성기도에는 울며 부르짖는다는 느낌이 있다. 당시 교회사를 보면 ‘통성기도 소리가 마치 상가의 곡성(哭聲) 같았다’는 표현도 남아 있다.

 

▷이명박 대통령 부부가 그제 ‘국가조찬기도회’에서 무릎 꿇고 통성기도를 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 길자연 대표회장 목사가 기도회를 인도하던 중 갑자기 제안한 것이라 피하기 쉽지 않았을 것이다. 김윤옥 여사가 먼저 무릎을 꿇으면서 이 대통령의 허벅지를 찔렀고 이 대통령은 잠시 머뭇거리다 무릎을 꿇었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 등 많은 참석자도 식탁 옆으로 나와 무릎을 꿇었다. 1968년 첫 모임 이래 박정희 등 모든 역대 대통령이 거의 매년 참석한 국가조찬기도회이지만 무릎 꿇고 기도한 것은 이 대통령이 처음이다.

 

▷개신교회 중에는 통성기도를 공식 예배에서 허용하지 않는 곳도 적지 않다. 통성기도를 받아들이는 교회라도 보통 앉아서 한다. 국가조찬기도회는 개신교가 주도하는 행사지만 순수한 예배와 달리 공식 의전의 성격이 강하다. 이런 자리에서 길 목사가 대통령 등 주요 정치인을 상대로 무릎을 꿇는 통성기도를 유도한 것은 적절하지 못했다는 말이 나온다. 기독교 신자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혹은 다니던 교회에서 무릎 꿇고 기도하는 것이야 누가 뭐라고 하겠는가. 그러나 공개적인 장소에서는 신중했어야 한다. 이 대통령의 기도 사진이 나간 후 불교단체들이 즉각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국가조찬기도회는 본래 개신교 전통이 내려오는 미국에서 처음 시작된 것이다. 그런 미국에서 신앙심이 각별하다는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도 국가조찬기도회에서 무릎 꿇은 모습을 보인 적이 없다. 우리나라는 국교를 인정하지 않는 다(多)종교 국가다. 그렇지 않아도 이 정부 들어 불교계에서 ‘종교 편향’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최근에는 이슬람채권법(수쿠크법)으로 개신교계 일각에서 반발이 일었다. 다종교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나라의 전통을 살려가기 위해 모든 종교인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송평인 동아일보 논설위원 pisong@donga.com

 

※ 국가조찬기도회

국가조찬기도회는 아침을 먹으며 하는것이 아니라 기독교단체에서 매년 신년에 주최하는 아침기도회로아침 식사전에 하는 관례로서 1968년부터 매년 여는 기도회로 나라를 생각하는 기독교인들이 모여 여는 기도회입니다.

이 기도회는 방송사 극동방송이나 CBS,국민일보에서 비중있게 다뤄지는 기도회며 아침에 열리는 성격상 통상관례상으로 07시에 열립니다.

이시간부터 극동방송이나 CBS에서 중계방송에 들어가게 되며 ....

국민일보의 경우 기독교 기사를 많이 다루기에 지면의 상당량을 기도회 비중을 두고 동참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