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①영신(迎神): / 강신(降神): 제주(祭主)가 향을 피우고 재배한 후 다시 꿇어 앉으면 집사가 술잔을 내려서 집사로 하여금 술을 조금 치게 하고 제주는 그 술을 모사 위에 세 번 붓고 빈 잔을 집사에게 돌려주고 다시 재배한다. 집사는 빈 잔을 제 자리에 놓는다. |
|
②참신(參神): 제주가 강신을 마친 후에 참사자(參祀者) 모두 신위를 향하여 재배한다.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일 때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을 모셨을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
|
③초헌(初獻): 제주가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한다.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붓는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그것을 받아서 메그릇과 갱그릇사이의 앞쪽에 놓고 제물 위에 젓가락을 올려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한다. |
|
④독축(讀祝): 초헌 후 참사자가 모두 꿇어앉으면 축관이 헌관 좌측에 꿇어앉아서 축문을 읽는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되는데, 엄숙한 목소리로 천천히 읽어야 한다. 축문 읽기가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哭)을 했다. |
|
⑤아헌(亞獻):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主婦)가 올린다. 이 때 집사는 여자가 된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절차는 초헌 때와 같으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는다. '육적(肉炙)' 대신 그 자리에 '어적(魚炙)'을 올린다. 주부는 네 번 절한다. |
|
⑥종헌(終獻):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흔히 멀리서 참례하러 온 참사자 가운데서 올리기도 하는데, 사위(女壻)나 외손(外孫)이 마땅하다. 잔은 7할쯤 부어서 올린다. 아헌과 같으나 잔을 비우지 않고 적도 치우지 않는다. |
|
⑦첨작(添酌):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끓어 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할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
|
⑧계반, 삽시(啓飯,揷匙): 첨작이 끝나면 집사자가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메 그릇의 중앙에 꽂는다. 젓가락을 고른 뒤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히 옮겨 놓는다. 숟가락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한다. |
|
⑨합문(闔門): 영위(靈位)께서 식사하는 시간을 갖게 하는 의식이다. 제관일동이 방에서 나온 후 문을 닫고 3∼4분 조용히 기다린다. 이를 유식(侑食)이라고도 한다. |
|
⑩계문(啓門): 계문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한다. 축관(祝官)이 세 번 기침을 한 후 방문을 열며 들어간다. |
|
⑪헌다(獻茶): 헌다란 차를 올린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려 숟가락으로 메를 세 번 떠서 숭늉에 말고 참사자 모두 읍한 자세로 꿇어앉아 있다가 제주의 기침소리를 따라 고개를 든다. |
|
⑫철시복반(撤匙復飯):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의 뚜껑을 덮는 것을 말한다. |
|
⑬사신(辭神): 제사에 참여한 사람이 조상을 보내는 작별인사를 드리는 절차로 합동으로 배례를 한다. 참사자 중 남자는 두 번 절하고 여자는 네 번 절하고 난 후 신주는 사당으로 모시고 지방과 축문은 소지한다. |
|
⑭철상(撤床): / 음복(飮福): 모든 제수를 물리는데 뒤에서부터 한다. 곧 음복을 하는데 조상께서 내려 주신 복된 음식이니 참사자 모두가 술과 음식을 골고루 나눠 먹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