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15. 持經功德分 15. 持經功德分 : 경을 지니는 공덕 須菩提 若有 善男子善女人 初日分 以恒河沙等身 布施 수보리 약유 선남자선여인 초일분 이항하사등신 보시 中日分 復以恒河沙等身 布施 중일분 부이항아사등신 보시 後日分 亦以恒河沙等身 布施 如是 無量百千萬億劫 후일분 역이항하사등신 보시 여.. 불교/금강경(설우스님) 2014.06.30
[스크랩] 실상반야, 관조반야, 문자반야 실상반야, 관조반야, 문자반야 반야는 지혜라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현상계를 보는 지혜를 반야라고 하지 않고 실상계(實相界)를 보는 안목, 보고 판단하는 지혜를 반야라고 합니다. 실상계(實相界)라고 함은 모든 이름과 형상과 문자의 얽매임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이.. 불교/불교 일반 2014.06.30
불교에서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는 어떻게 다른가? □ 불교에서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는 어떻게 다른가? 불교사상을 설명할 때 강의 비유가 자주 쓰인다. 크고 급격한 흐름을 가진 강이 있다. 강의 이쪽(此岸)은 우리가 살고 있는 미혹(迷惑)의 세계 또는 번뇌의 세계이다. 그리고 강 건너 저쪽(彼岸)은 깨달음의 세계이다. 번뇌의 불이 꺼진 .. 불교/불교 일반 201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