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한(羅漢)
중생 번뇌, 속박 씻어주는‘아라한-성자’
16나한.500나한 신앙…중생제도 의지 반영
아라한은 범어‘아라하트(arahat)’의 음역이다.
아라한을 줄여‘나한(羅漢)’이라고 한다.
‘세상의 존경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 수행자’,
‘공양과 보시를 받을 가치가 있는 수행자’,
‘종교적인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성자’,
‘능히 번뇌를 끊고 고요한 불생의 경지에 도달한 성자’라는 뜻으로 해석한다.
이런 의미로 응공(應供), 응진(應眞), 불생(不生) 등으로 한역한다.
초기불교에선 최고의 깨달음을 얻은 사람을 아라한이라 칭했다.
후에 부처님과 아라한이 구별돼 부처님의 제자가 도달하는 최고 깨달음의 경지를 의미하게 됐다.
자이나교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수행자를‘아라하트’라고 부른다.
나한은 통상 ‘16나한’이나 ‘500나한’으로 불린다.
16나한은 부처의 경지에 오른 16명의 나한들을 말하고,
500나한 역시 부처의 경지에 오른 수행자를 의미한다.
16나한과 500나한은 <입대승론> <법화경> <사분율>에 등장하는 실재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입대승론>에는
‘부처님이 열반하실 때 16나한에게 부처님 입적 후 교단을 보호하고 지킬 것을 부촉하셨다’는 내용이 있다.
이는 16나한이 바로 부처님 수제자들이며, 삼계의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수행력과 지혜를 갖추고 있는 인물들이다.
500나한도 실재했던 부처님의 상수제자들임을 알 수 있다.
<아함경>에는 부처님이 500나한들을 위해 코살라국 사위성에서 설법한 것을 전하고 있고, 매월 16일마다 부처님이 직접 법을 설했던 기록도 전한다.
500명의 제자들이 부처님에게 수기를 받는 장면 역시 <법화경> ‘오백제자 수기품’에 나온다.
나한은 이처럼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고도 중생계에 머물며 중생을 제도한다는 믿음으로 중생들에 의해 숭배된다.
나한은 삼장에 통달했다고 전한다.
특히 외전에 능했고 외도의 항복을 받았다고 한다.
정법의 시대에는 불교를 지키고, 말법의 시대에는 불자들의 복전이 되어 그들로 하여금 열반의 과보를 얻게 했다고 한다.
나한신앙은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에서 크게 성행하고 있고 선종에서는 불법의 전지자로서 신앙되어 왔다.
나한상은 미술소재로도 자주 채택된다.
모습은 인간적이고 해학적이어서 친근감을 준다.
'불교 > 불교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알아두면 좋은 불자상식 (0) | 2010.11.22 |
---|---|
3학을 배워 3독을 끊어야 합니까? (0) | 2010.11.21 |
處處佛像 事事佛供 (0) | 2010.11.18 |
치야칭칭나네 (0) | 2010.11.12 |
부모은중가 (0) | 2010.11.12 |